My record 15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Chapter2,52page

Chapter2 는 퍼셉트론에 대한 내용이다. 오늘은 퍼셉트론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퍼셉트론이 신경망의 기원이 되는 알고리즘이기때문에 퍼셉트론의 구조를 배우는 것은 신경망과 딥러닝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아이디어를 배우는 일이된다고 서술되어있다... 나는 그거는 잘 모르겠고.. 책에나오니까 그냥 보겠다. **퍼셉트론은 다수의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림의 원을 뉴런 혹은 노드라고 부릅니다. 입력신호가 뉴런에 보내질 때는 각각 고유한 가중치가 곱해집니다. (x1*w1, x2*w2) 뉴런에서 보내온 신호의 총합이 정해진 한계를 넘어설때만 1을 출력 y = 0 (w1x1 + w2x2 임계값) 을 출력한다. >> 가중치가 클수록 해당 신호가 그만큼 더 중요함을 뜻한다. 다음 내용은..

My record 2019.10.30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Chapter1,45page

알바가기 전에 시간이 남길래 오랜만에 책을 폈다. 오늘 펼친 페이지에서 나온 예제 코드인데 어째서인지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 as plt #데이터 준비 x=np.arange(0, 6, 0.1) y1 = np.sin(x) y2 = np.cos(x) #그래프 그리기 plt.plot(x, y1, label="sin") plt.plot(x, y2, linestyle="--", label="cos") plt.xlabel("x") #x축 이름 plt.ylabel("y") #y축 이름 plt.title('sin&cos') plt.legend() plt.show() 왜 따라치기만 했는데 에러가 나는가... 다시 확인해보니까 import부분에서 import matplotlib...

My record 2019.10.30

덕성여대 멋사 세션후기

오늘은 덕성여대 멋사 세션을 진행했다. 현재 멋쟁이 사자처럼 동아리 운영진은 아니지만, 약속 했던 것도 있었기 때문에 세션을 진행했다. 작년에도 느낀거지만 점점 동아리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열정이 강해지고 의지와 끈기도 강해진것 같다. 동아리가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 모르지만 탈퇴률도 적고 정말 다행인것 같다. 오늘은 리액트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하고 ES6 문법 수업을 진행했다. 다들 얼마나 이해했는지는 모르겠다. 다음주 수업에는 무엇을 해야할까 고민된다. 그래도 수업 중에 진행한 게임만들기에서 나름 열심히들 해준것 같아서 다행이다.

My record 2019.05.18

개발일기 첫 게시물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개발일기 블로그를 개설하게되었습니다. 항상 귀차니즘으로 가득 찬 제가 이렇게 꾸준히 작성해야 하는 블로그 개설을 결심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저는 대학생 3학년을 마치고 휴학을 했습니다. 이 휴학 1년 동안 내가 한것이 무엇일까 나중에 되돌아 볼 때, 블로그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두번째로는 블로그를 함으로써 개발을 일상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세번째로는 그냥 멋져서 써보고 싶었습니다. 현재 저는 휴학생이며 스타트업에서 웹 프론트엔드 인턴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일하면서 깨닫게 된 점이라던가 배운 것들을 정리하여 올릴 예정입니다. today's record 첫 블로그 개시

My record 2019.04.06